해양공학개론

Part 6 : 해양자원

주제

  • 해양자원

해양공학

  • Ocean Engineering
    • 이전의 정의 : 석유 채굴과 관련된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으로 시작된 학문
    • 요즘의 정의
      • 해양공학은 해안 또는 해안 환경에서 작동 할 수있는 인공 시스템의 개발, 설계 및 분석을 포함한다. 일부 시스템은 특히 얕은 깊이에서 바닥에 장착되어 있으며 다른 시스템은 배, 잠수함 또는 부유 드릴링 플랫폼과 같이 이동식이다.

해양

  • 바다 : 평균수심 3,800m, 지표면 71%

한반도 주위 3차원 해저지형도




해양자원

  • 물질자원

    • 해양생물자원
    • 해양광물자원 *
  • 에너지 자원

    • 해양 에너지 자원 *
  • 공간자원

    • 수송, 운송 *
    • 여행지, 관광지

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(KIMST)

  • 해양환경 기술
  • 해양에너지 및 자원이용 기술

해양광물자원 종류

  • 채취 가능한 자원들

해양광물자원 종류

  • 꿈의 자원 : 메탄하이드레이트 ('불타는 얼음')
    • 죽은생물을 해저 박테리아가 분해해 발생한 메탄가스가 저온, 초고압에 의해 얼은 것

해양광물자원 매장량

망간단괴 (일명 검은 황금)

  • 바닷물에 녹아 있는 금속 성분이 해저면에서 물리적, 화학적 작용으로 형성되는 다금속
    산화물로 감자 덩어리 형태로 된 검은색 광물덩어리
  • 수심 4000 ~ 5000m 내외의 태평양 해저에서 다량발견
  • 조개껍데기나 상어 이빨 등의 핵을 중심으로 서서히 성장(100만 년에 수십mm)

망간 각 (망간 아스팔트)

  • 수심 800~2500m의 해저산 경사면에 들러붙어 있는 금속 덩어리
  • 해저산 경사면에 아스팔트가 덮고 있는 것처럼 껍질(각) 모양

해저 열수광상

  • 금속을 함유한 뜨거운 해수가 심해 열수분출공 밖으로 나온 뒤, 차가운 바닷물과 만나면서 침전되어 굴뚝처럼 만들어지는 금속황화물
  • 광액의 온도에 따라 심열수광상(375~300°C), 중열수광상(300~200°C), 천열수광상(200°C 이하)으로 분류
  • 아연, 니켈, 구리 등 함유

해양 광물 채취

해양 석유/가스

  • 1947년부터 멕시코만에서 채취 시작
  • 오래전 캘리포니아의 유전들...

해양 석유/가스

  • 현재 멕시코만 유전

한반도 유전

북해의 웃픈 상황

  • 1965 노르웨이, 덴마크, 영국 대륙붕 협정 (물고기협정) 체결

북해의 웃픈 상황

북해의 웃픈 상황

  • 노르웨이 국부펀드 (1990부터 기름팔아 남은돈 투자) : 1600조원, 1인당 3억원 수준

해양 석유/가스

해양유전 드릴링 과정

관련영화 : 딥워터 호라이즌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f0SNZPrB1Y

  • 2010년 4월 20일부터 9월 19일까지 미국 멕시코만에서 벌어졌던 역사상 손꼽힐만한 환경 재앙.
  • 만약의 사태에 심해 시추공을 잠그는 안전장치(blowout preventer, BOP)가 있었으나, 폭발 당시에 이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.
  • 딥워터 호라이즌 호는 대한민국의 현대중공업에서 2001년 5억 6천만 달러에 건조한 121m × 78m 크기의 반잠수형 해양 굴착 시설. 세계에서 가장 큰 연안 시추 전문업체인 트랜스오션이 소유한 시설이며, BP에게 2013년까지 임대중. 8천 피트(2400 미터) 깊이의 해양에서 작업 가능하며 최대 시추 심도는 3만 피트(9100 미터).

🎉

다음 시간에 !


👨‍🏫 교수자

최원석 (Woen-Sug Choi)
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

상담문의 및 질문은 온라인 상담예약 링크 (담당교수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누구든지 😊😊)
또는 해양과학기술관(D) 301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