등등... 다양한 식들이 존재한다.
기본 식 :
만재 시 (실적선):
배수량 추정 : 실적선의 DWT/LWT 비율 적용
길이 추정 : 관계 사용
기본 식 :
d (흘수) : 항로가 허용하는 최대 흘수 (예: 22.5 m)
B (형폭) : 일반적 해당 선종의 폭 또는 항로가 허용하는 최대 폭
주요 치수를 1차적 도출 후, 다양한 경험식에 대입해서 만족여부 확인
반복 계산을 통해 최종 확정
엔진 -> 프로펠러 축 -> 프로펠러 -> 추진기 -> 실제 추력
EHP (Effective Horse Power) : 유효마력
DHP (Delivered Horse Power) : 전달마력 (추진효율)
BHP (Brake Horse Power) : 제동마력 (축전달 효율)
NCR (Normal Continous Rating) : 정격마력 (해양상황 고려 여유분)
NMCR (Normal Maximum Continous Rating) : 정격 최대마력 (엔진자체 여유)
배수량은 앞서 추정했다? 주기관 마력은 얼마가 되어야 할까?
설계 : 개념 -> 기본 -> 상세
5대 주요 선박 생산 주요 이벤트
선박 제작 과정
블록건조방식 : 블록으러 나누어 만든 후 조립
LNG선 제작과정
FPSO 제작과정 (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)
상선 vs 특수선(함정)
잠수함 역사 빠르게 정리 '안될과학'
잠수함의 추진
👨🏫 교수자
최원석 (Woen-Sug Choi)
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
상담문의 및 질문은 온라인 상담예약 링크 (담당교수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누구든지 😊😊)
또는 해양과학기술관(D) 301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