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양공학개론

Part 4 : 선체의 구조

주제

  • 선체 명칭
  • 선체의 강도
  • 구조설계 및 안전성 평가
  • 구조의 재료
  • 진동과 소음

선체 단면 구조

횡늑골 방식 (일반 중소형 상선)
종늑골 방식 (유조선 등 대형)

선체의 강도 = 얼마나 변형될 것인가?

  • 구조물(구조 재료)의 변형 : 응력(stress ~ 힘의 압력)와 변형률(strain)

선체의 강도 해석 = FEM Analysis

  • FEM(Finite Element Method; 유한요소해석법)
    • 유한개의 요소로 분할하여 각 요소의 응력과 변형률을 계산하는 수치해석법

선체의 구조설계 및 안정성

  • 지속적인 외부 힘에 노출되었을때 언제까지 괜찮은가?
    • 안괜찮으면 더 두껍게, 더 강한재료로 교체 설계
  • 'SN선도'
    • 사이클 횟수 (N) vs 응력(Stress)
    • 재료(설계)에 따라 다름

선체 구조용 재료

  • 철 vs 강
    • 탄소함유량이 1.7%이상면 철, 그 이하면 강
    • 막철 - 무쇠 또는 선철, 탄소함량이 2.5~4.5%인 철
    • 특수강 - 스테인리스강(SUS)
  • FRP(Fiber Reinforced Plastics)
    •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
    • 강철보다 가볍고, 내식성이 좋고, 내구성이 좋음
    • 단점 : 가격이 비싸고, 열에 약함

선박의 소음과 진동

진동과 소음의 단위

  • 데시벨 dB (주로 소음 및 음향에서 쓰는 용어)
    • 지수단위! 10dB 차이는 10배 차이가 아님!
    • 80dB 소음발생 엔진 2대 있으면 몇 dB일까?
      • 엔진 2대는 83.01dB ! 2배는 약 3dB 차이!
    • 기계설계 다 끝냈는데 규정보다 2dB가 높다.
      2 dB 줄여달라고 한다.
      • 전문가 반응:
        • 말이되는소리인가..?
  • 점점 더 시끄러워지는 해양소음에 관한 영상

기초적인 소음제어 - 헬흠홀츠 공명기

유동소음 (Aeroacoustics)

  • 유체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

    • 전산유체역학(박선호 교수님)
      + 진동소음공학(최원석 교수님)
    • 진동소음공학
      • 유체(공기) 전달 소음
      • 구조 전달 소음
    • (참고) 음향공학
      • 공기 중 음향
      • 수중 중 음향(=수중음향, 변기훈 교수님)

🎉

다음 시간에 !


👨‍🏫 교수자

최원석 (Woen-Sug Choi)
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학과

상담문의 및 질문은 온라인 상담예약 링크 (담당교수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누구든지 😊😊)
또는 해양과학기술관(D) 301호